티스토리 뷰

반응형

회의를 해도 정리가 안 되고, 회의록은 나중에 보려 하면 어디 있는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이런 혼란을 줄이려면 회의록보다 더 실시간에 가까운 ‘회의 메모’를 잘 정리하는 게 핵심입니다. 플로우에서는 회의 메모를 단순한 기록이 아닌, 업무 흐름 안에 녹여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팀장의 실무 경험을 토대로 회의 메모를 어떻게 관리하고 팀과 공유할지 알아보겠습니다.

 

팀장의 플로우 활용법 플로우에서 회의 메모 사용법

 

 

 

회의 끝나고 "그 얘기 안 했어요"라는 말, 왜 계속 듣게 될까?

회의가 많다고 일이 잘 되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회의가 많을수록 기록이 없으면 오해는 커지고, 누가 뭘 하기로 했는지 잊는 사람은 꼭 생기게 됩니다.

 

저도 예전에는

화이트보드 사진 찍어서 단톡방에 공유

노트북에 타이핑한 회의 메모 PDF로 만들어 메일 보내고 혹은 그냥 “누가 알아서 정리하겠지” 하고 넘어간 적이 많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회의 내용이 다시 나올 때마다 “그때 그렇게 얘기 안 했는데요?” “그건 제가 하기로 한 게 아니에요.” 이런 말이 반복되면서, 결국은 팀장이 다 떠안게 되더라고요.

 

그 이후로 저는 방식을 바꿨습니다. 회의 중간에 메모를 바로 플로우에 남기고, 회의 끝나자마자 팀원들과 공유하는 구조로 운영하게 됐죠. 회의록은 회의 끝나고 나서 정리하는 거지만, 회의 메모는 회의 중간부터 바로 기록되고, 그대로 업무와 연결되는 실시간 기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의 중 어떤 메모를 어떻게 남기고

어디에 정리하며

누구와 공유하고

회의 후 업무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실제 팀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플로우 회의 메모 사용법 

1. 회의 메모는 게시글이 아니라 ‘실시간 업무 기록’으로 작성해야 한다

많은 분들이 플로우 회의 메모를 그냥 게시글로 정리합니다. 물론 그것도 방법이지만, 저는 업무 흐름과 연결되는 메모 방식을 씁니다.

 

예를 들어 회의 시작과 동시에 ‘오늘 회의 안건’이라는 제목으로 게시글을 작성해 두고, 회의 중에 바로 플로우 창을 열어

안건 요약

논의 도중 나온 아이디어

결정 내용

담당자 및 마감일 을 실시간으로 타이핑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회의 끝나고 따로 회의록 정리할 필요가 없고, 회의 끝나는 순간 이미 기록이 완료돼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팀원도 그 게시글 하나로 전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되죠.

 

 

2. 제목은 날짜 + 회의명, 내용은 구조적으로 작성

플로우에서는 게시글 수가 많기 때문에 제목을 명확히 적지 않으면 나중에 찾기 어렵습니다.

 

저는 항상 아래처럼 씁니다:

[회의 메모] 2025.04.28 마케팅 캠페인 기획 회의

 

그리고 내용은 아래 구조로 정리합니다:

 

참석자: ○○, ○○, ○○

 

안건:

1. SNS 광고 방향 확정

2. 외부 협업사 일정

논의 내용 요약:

 

캠페인 타이틀 → ‘이번엔 다르다’ 확정

A업체 → 일정 문제로 제외

 

결정 사항:

디자인 콘셉트 시안 3종 준비 (담당: 김대리 / 마감: 5.3)

카피 문구 내부 피드백 (담당: 콘텐츠팀 / 마감: 5.2)

 

이런 식으로 회의 중 바로 입력해서 정리하면, 회의가 끝난 직후에도 팀원들이 바로 업무에 착수할 수 있습니다.

 

 

3. 회의 메모는 프로젝트 내에서 작성하고, 그 프로젝트 안에서만 공유

회의 메모는 그 자체로 공유되는 게 아니라 해당 프로젝트에 소속돼 있는 사람들끼리 자동 공유됩니다.

그래서 저는 회의를 할 때 무조건 그 회의가 관련된 프로젝트 안에서 메모를 남기고, 게시글을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2025 상반기 마케팅 프로젝트’가 있다면

 

관련 업무 연결

 

일정 반영

파일 첨부 등이 자연스럽게 됩니다.

 

회의록이 따로 떠돌지 않고, 업무와 함께 같은 공간에 묶여 있어야 ‘읽히는 문서’가 됩니다.

 

회의 메모는 쓰는 것보다 ‘공유하는 방식’이 더 중요하다

회의 메모는 잘 정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때, 제대로 공유되지 않으면 아무 의미 없습니다. “올려놨어요” 한마디로 끝내면 안 되고, 어디에 있는지, 누가 확인해야 하는지, 누가 수정할 수 있는지까지 정리되어 있어야 진짜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프로젝트 안에서 공유 → 멘션으로 알림 → 확인 리액션 유도

회의 메모는 작성만 하면 같은 프로젝트에 있는 모든 팀원에게 자동으로 공유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죠.

 

그래서 저는 항상 메모 작성 마지막에 참석자 이름을 멘션(@홍길동)으로 걸어둡니다. 그러면 플로우에서 알림이 가고, 해당 팀원은 직접 클릭해서 내용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요즘은 이렇게도 합니다:

“내용 확인하신 분은 댓글 또는 👍 리액션 부탁드립니다.”

 

이렇게 해두면 누가 회의 내용을 읽었는지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그리고 확인율도 확실히 올라갑니다. 실제로 리액션이나 댓글 몇 줄만으로도 “아, 이건 전달이 끝났구나”라고 판단할 수 있어 추가 설명 없이도 업무가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회의 메모도 ‘공동 작업’이 필요한 이유

처음엔 회의 메모를 저 혼자 정리했습니다. 근데 회의가 많아지니까 혼자 정리하는 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잘못 기억한 내용도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바꿨습니다. 회의 메모는 공동 작성 구조로 바꿨습니다.

 

1. 플로우 게시글은 공동 수정이 가능하다

플로우 게시글은 기본적으로 작성자 외에는 수정이 불가능하지만, 설정에서 ‘모든 참여자 수정 가능’으로 바꾸면 회의에 참석한 팀원 누구든 메모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의 시작 전에 틀만 제가 만들고

실시간 메모는 회의 주제별 담당자가 입력

회의 끝나고 팀원이 담당자별로 요약정리

 

이런 식으로 회의가 끝나자마자 완성된 회의 메모가 만들어집니다.

 

 

2. 공동 편집 + 댓글 기록 = 회의 메모 투명화

회의 메모를 여럿이 쓰다 보면 누가 뭘 고쳤는지, 언제 바뀌었는지 궁금할 때가 있죠?

플로우는 누군가 게시글을 수정하면 자동 댓글로 기록이 남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 누가 바꿨지?" 하고 따로 물어볼 필요 없습니다.

회의록이 아니라 협업 문서로서의 메모가 되는 거죠. 팀 분위기도 “누가 쓰느냐”에서 “같이 쓰자”로 자연스럽게 바뀝니다.

 

슬랙이나 구글 메일과 연동해서 ‘기록 + 전달’을 자동화하기

회의 메모를 써놓고 팀원들이 모르면 말짱 헛일입니다. 그래서 저는 플로우 안에서 정리하고, 슬랙이나 메일로도 동시에 공유해서 놓치는 사람 없이 관리합니다.

 

1. 슬랙 공유는 링크 복사 + 멘션만으로 충분

플로우 게시글에서 오른쪽 상단 메뉴 → ‘링크 복사’ 누르고 슬랙에 붙여 넣으면 끝입니다.

 

[📝 회의 메모] 4/29 콘텐츠 회의 내용 공유드립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플로우 링크]

 

거기에 슬랙 멘션만 달면 다들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합니다.

특히 이렇게만 해도 회의록 파일 첨부 없이 공유가 끝나고, 팀원들도 읽고 바로 리액션 달아줍니다. 플로우에 기록하고, 슬랙에서 알림만 주는 조합이 최고 효율이었습니다.

 

 

2. 메일 공유는 캡처 or 텍스트 복사 방식으로

외부 클라이언트나 대표님께 보고해야 하는 회의 메모는 플로우 링크만 던질 수는 없잖아요?

 

이럴 땐

내용을 복사해서 이메일 본문에 붙이거나

스크린숏으로 회의 메모 캡처해서 첨부하는 방식이 제일 깔끔합니다.

 

보고용 양식을 따로 만들기보다 플로우에 정리된 내용을 복붙만 해도 자료 완성도가 80% 이상 올라갑니다.

 

회의 메모도 AI가 도와줄 수 있다.

회의 끝나고 나면 다들 지칩니다. 그 상태에서 회의 메모까지 다시 정리하려면 아무리 팀장이라도 하기 싫을 때 있습니다. 요즘은 이럴 때 AI 요약 도구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

 

1. 크로버노트, 오토노트, Whisper, 노션 AI 등 활용

회의를

노트북 녹음기

줌 녹화

휴대폰 보이스 레코더로 저장해 두고, 그걸 AI 회의 요약 도구에 넣으면

 

참석자 구분

핵심 발언 요약

주요 안건 정리 이런 식으로 텍스트가 자동으로 정리됩니다.

특히 크로버노트는 한국어 인식률이 높아서 정확도가 꽤 좋고, Whisper는 오픈소스 기반이라 길게 돌리기에도 괜찮습니다.

 

 

2. AI 요약 내용을 플로우 게시글로 옮기기

AI 도구에서 요약한 내용을 그대로 플로우 게시글에 붙여 넣고 내용만 살짝 정리하면 끝입니다.

실제로 30분짜리 회의 녹음 기준으로 수기로 회의록 쓰면 2030분 걸리는데, AI 요약 붙여넣고 다듬으면 510분 안에 마무리됩니다.

 

팀원들도 “회의록이 이렇게 빨리 올라와요?” “요약이 깔끔해서 바로 업무 연결돼요.” 이런 반응을 보이면 메모 → 업무 흐름이 끊기지 않게 이어집니다.

 

회의 메모를 잘 쓰는 팀은 회의 시간이 줄어든다.

회의 메모는 그냥 “회의 요약용 문서”가 아닙니다. 회의에서 나온 이야기들을 업무로 옮기는 ‘첫 번째 발판’*자, 다음 액션을 위한 팀 전체의 기억 저장소입니다.

 

플로우 안에서 회의 메모를 잘 활용하면

회의 직후 업무로 이어지고

참여하지 않은 팀원도 내용을 빠르게 이해하며 수정, 공유, 피드백까지 자동화됩니다.

 

그리고 여기에

슬랙 연동

구글 메일 공유

AI 요약 도구 활용 이런 요소까지 결합되면 회의 메모 하나가, 회의 → 실행 → 기록까지 한 번에 연결되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이제는 회의록보다 ‘회의 중 바로 쓰는 메모’가 더 중요합니다.

기록이 빠를수록 실행도 빨라지고, 실행이 명확할수록 팀이 더 유기적으로 움직입니다. 회의는 말로 끝나도, 일은 기록으로 남습니다. 그 기록, 플로우 하나면 충분합니다.

반응형